처음 애드센스 사이트에 접속하고 애드센스 승인을 요청을 하고 나면 화면 상단에 다음과 같은 문구를 보게 됩니다.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그리고 수익 손실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ads.txt 파일 문제 해결에 관해 자세히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ads.txt 파일이란?
그렇다면 과연 ads.txt란 무엇일까요? 애드센스 승인을 받은 판매자를 통해서만 광고를 게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광고주를 보호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는 광고주가 무분별한 광고비의 지출을 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ads.txt는 꼭 해야 하는 것을 아니지만 사용을 적극 권장한다고 구글은 언급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ads.txt 파일은 구글이 내가 작성한 글을 크롤링하는 과정에서 확인하는 파일입니다. 해당 게시자의 글이 실제로 애드센스 승인을 받을 글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것입니다.
처음 애드센스 승인을 받고 나서 문제 해결을 위해서 가장 먼저 구글 고객센터를 확인했었습니다. 구글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이트의 루트 디렉터리 또는 폴더에 ads.txt 파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알려주었습니다. 하지만 티스토리를 운영 및 관리하고 있는 다음 서버에는 접속할 수 없다는 것이 현실적인 한계였습니다. 그리고 티스토리 입장에서는 서버 접근을 허용하도록 승인할 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수익 손실 위험이 있는 걸까요? 티스토리 블로그를 사용하는 입장이고,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통해 광고를 게재해야 하는 블로거라면 애드센스 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이 경고성 문구가 불편하게 생각될 듯합니다. 꼭 적용해야 하는 사항은 아니지만 권장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알아보았습니다.
사이트에 사용할 ads.txt 파일 생성하기
우선 루트 디렉터리에 적용해야 하는 ads.txt 파일을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애드센스 사이트에 접속한 후 왼쪽 메뉴의 사이트를 선택합니다.
2) 화면에 보이는 리스트 중 ads.txt 상태가 '찾을 수 없음'으로 되어 있는 사이트 URL을 클릭합니다.
3) 아래 화면에서 ads.txt 파일에 넣을 코드를 복사하기 합니다.
4) 복사한 내용을 메모장에 붙어넣기 합니다. 복사한 내용은 게시자 ID입니다.
5) 메모장에서 붙어넣기 한 내용을 확인한 후 ads.txt로 저장합니다.
이렇게 하면 루트 디렉터리 혹은 폴더에 적용할 ads.txt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 적용하기
이제는 생성된 ads.txt 파일을 대표 티스토리 블로그에 적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블로그에서 꾸미기> 스킨편집으로 이동합니다.
2) html 편집을 클릭한 후 파일업로드를 선택합니다.
3) 화면에서 images/ads.txt가 업로드된 것을 확인하고 화면 오른쪽 상단의 적용을 선택합니다.
ads.txt 파일을 적용 완료했습니다. 이제는 구글에서 게시된 글을 크롤링할 때 해당 파일을 통해 문제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게 됩니다. 하지만 구글 애드센스 화면에 바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시간이 조금 걸린다고 합니다.
ads.txt 적용 확인
구글 애드센스에서 ads.txt 오류가 있었던 사이트에 접속했을 경우 아래와 같이 ads.txt가 감지되었다는 화면을 보게 되면 ads.txt 파일이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네트워크 문제가 아니라면 구글서치콘솔에서도 더 이상 ads.txt가 감지되지 않았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ads.txt 파일 문제는 게시된 글이 크롤링되지 않는 하나의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또는 ads.txt를 통해 승인된 것으로 분류된 게시글에만 광고 게재를 요청하는 광고주가 있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잠재 광고주가 광고 게재를 위해 사이트를 찾을 때 이러한 문제로 내 사이트가 선택에서 제외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듯합니다.
ads.txt 문제 관련 참고사항
구글 애드센스 사이트의 ads.txt 상태 문구 옆 물음표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사항을 확인하게 됩니다.
- 찾을 수 없음: 사이트에 ads.txt 파일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는 위에 언급된 사항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승인됨: 크롤링 중에 ads.txt 파일을 확인했고 해당 게시자 ID가 존재한 경우입니다.
- 승인되지 않음 : ads.txt 파일에 게시자 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적용된 ads.txt 파일의 게시자 ID와 구글 애드센스 계정의 해당 사이트에 할당된 게시자 ID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때문에 사이트에서 보이는 게시자 ID를 ads.txt 파일에 포함시키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혹은 아직 애드센스 승인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와 같은 문구가 보입니다. 승인까지 조금 더 기다려야 합니다.
- 해당사항 없음: tistory.com으로 끝나는 URL일 경우에는 해당사항 없음으로 출력됩니다.
나에게 해당하는 사항이 어떤 항목인지 확인 후 문제가 있을 경우 수익 손실 위험 관련 경고 사항을 해결하는 것이 애드센스 수익을 늘리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구글 애드센스 화면에서 자꾸 만나게 되는 "수익 손실 위험 -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라는 메시지의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구글서치콘솔 실시간 URL 테스트 오류 (ft. 실패: Robots.txt를 찾을 수 없음)
구글서치콘솔 실시간 URL 테스트 오류 (ft. 실패: Robots.txt를 찾을 수 없음)
구글봇이 자동으로 내가 발행한 글을 크롤링하지 못하는 경험을 하실 겁니다. 때문에 직접 글을 작성한 후 구글서치콘솔을 통해 색인생성을 요청하게 됩니다. 하지만 색인생성 요청을 하긴 전
www.richmom119.com
페이지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ft. HTTP ERROR 400)
페이지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ft. HTTP ERROR 400)
크롬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많습니다. 다른 웹브라우저도 많지만 사람들은 특히 한번 쓰기 시작한 것들을 쉽게 버리지 못하기 때문인 듯도 합니다. 물론 저 역시도 그렇고요. 그런
www.richmom119.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