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 공유하기

국립한글박물관 아이와 한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by SS월드 2022. 10. 19.

예전에는 박물관에 가면 엄마 아빠가 설명을 해줘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아이도 흥미를 갖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아무래도 엄마 아빠는 전문 해설가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요즘은 박물관에서 해설사 선생님의 해설을 들으며 관람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글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경험을 할 수 있는 한글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한글박물관
용산-한글박물관에서

 

국립한글박물관 아이와 한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관람안내

우리 민족 최고의 문화유산은 한글입니다. 한글은 문자와 문화적 가치로 판단했을 때 세계 최고의 수준이라고 합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2014년 10월 9일 문을 열었습니다. 이곳은 전시 공간이면서 동시에 어린이들이 한글의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 그리고 한글을 익히고 싶은 외국인들이 한글을 배울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또한 전시관 이외에도 한글도서관, 휴게 공간, 그리고 용산가족공원으로 이어지는 아름다운 정원이 조성되어 있는 복합 문화공간입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에 위치해 있습니다.

 

관람시간은 월~금, 일요일은 10:00부터 18:00까지 입니다. 그리고 토요일은 10:00부터 21:00입니다. 3층에 위치한 한글 놀이터는 10:10부터 17:40까지이며 온라인 사전 예약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관람료는 무료입니다. 새해 첫날, 설날 및 추석 당일은 휴관이며 한글도서관은 한글날을 제외한 법정 공휴일에는 휴관입니다.

 

관람 시 유의해야 할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모든 공간은 금연구역입니다.
  • 전시실 내에서 휴대전화는 진동모드로 전환해야 합니다.
  • 전시실 내에서는 상업적 촬영이 불가능합니다.
  • 음식물 반입 및 반려 동물의 출입이 금지됩니다. (안내견은 예외)
  • 안전을 위해서 바퀴달린 신발, 전동차, 킥보드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시설 안내

(1) 전시실

2층에 위치한 상설전시실은 훈민정음 머리말의 문장에 따라 7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층에 위치한 기획전시실은 한글과 다른 나라의 다양한 문자를 주제로 기획되어 전시하는 공간입니다. 이곳은 한글의 모든 유물뿐만 아니라 현대 작가들의 작품도 함께 관람할 수 있습니다.

 

3층에 위치한 한글놀이터는 한글이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공간입니다. 어린이들이 체험을 통해 다양한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곳입니다. 그리고 신나게 놀면서 한글의 힘과 의미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만 6세~9세의 어린이가 체험하기에 적당한 시설입니다.

 

(2) 한글도서관

건물 1층에 위치한 한글도서관은 국내에서 유일한 한글 전문 도서관입니다. 한글과 한글문화에 관한 모든 자료들이 제공됩니다. 이용 가능 시간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10시부터 18시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편의시설

2층 출입구 옆에 카페와 문화상품점 그리고 수유실이 있습니다. 그리고 2층 상설전시실 입구 왼쪽 그리고 3층 한글놀이터 입구에 물품보관함이 있습니다. 이용 시간은 박물관 관람시간과 동일합니다.

 

(4) 대관신청

지하 1층 강당은 유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매월 누리집을 통한 온라인 신청이 필요합니다. 신청기간은 매월 1일~10일까지이며 매월 20일까지 대관이 결정됩니다. 그리고 대관 결정은 문자메시지로 통보됩니다.

 

전시안내

상설전시는 건물 2층에서 2022년 1월 21일 개막하였습니다. 전시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부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중국의 한자를 빌려 말에 맞지 않는 글을 쓰던 시절)

2부 내 이를 딱하게 여겨 (제 뜻을 글로 표현하지 못하는 백성을 딱하게 여겨)

3부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쉬우면서도 사용이 편한 스물여덟 개의 글자를 만들었습니다)

4부 쉽게 익혀 (다양한 지식과 문화를 쉽게 익히고)

 

5부 사람마다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한글로 서로 소통하기를 바란 것이죠)

6부 날로 씀에 (한글은 우리의 공식 글자가 되어 날로 쓰이고 있으며)

7부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오늘날 많은 사람이 한글로 편하고 이로운 생활을 누리고 있습니다)

 

기획전시는 건물 3층에서 근대 한글 연구소에 대한 전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해설안내

해설은 각 전시실 앞에서 정해진 시간에 진행됩니다. 상설전시는 건물 2층에서 10:30, 14:00, 15:00, 16:00 시작합니다. 기획전시는 건물 3층에서 2022년 10월 7일(금)부터 2023년 1월 29일(일)까지 11:00, 15:00에 시작합니다. 정해진 시간표를 참고해서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단, 해설 시간표는 박물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원활한 해설을 위해서 제한 인원을 약 30명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기 해설 이외의 해설은 반드시 방문 전에 전화 문의를 해야 합니다.

 

국립한글박물관 다녀와서 느낀 점

아이들이 한글을 배우기 시작한 후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 다녀왔습니다. 읽을 수 있는 한글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그리고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님께 감사 편지도 썼습니다. 한글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하고, 또 한글을 아끼는 마음을 갖겠다고 했습니다.

 

전문 해설사님을 통해 한글에 대한 정확한 역사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눈으로만 관람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이해하며 관람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자라는 아이들과 부모님께 적극 추천하고 싶은 곳입니다. 

반응형

댓글